※
2022년
대한민국 국토대전
심사결과를
공개합니다.
I.「대한민국 국토대전」일반규정
1. 공모배경 및 목적-
‘대한민국 국토대전’은 국토 및 도시공간에서 경관디자인 향상을 이룬 창의적 사례를 평가해 시상하는 행사다. 대한민국 구성원들이 우리나라 국토와 도시공간을 아름답고 품격 있게 가꿔가도록 격려하고 권장하는데 목적이 있다.
-
대한민국 국토대전은 ‘품격 있는 국토, 아름다운 경관’을 슬로건으로 정하고 대한민국의 국토·도시 및 경관디자인에 세계적인 정책조류를 반영하며, 국가 및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토·도시 및 경경관디자인 우수사례를 발굴해 시상한다.
-
이와 더불어 지역의 창의적이고 우수한 경관을 형성하고자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, 전문 성을 강화한 행정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시상한다.
기존의 계획이나 디자인 공모사업과의 차별성을 갖기 위해 공모대상을 일반부문, 특별부문 및 경관행정부문으로 구분하여 국토·도시디자인 향상에 기여한 다양한 시설물과 경관사업, 관련 계획을 대상으로 한다.
공모 대상은 ‘일반부문’, ‘특별부문’ 및 ‘경관행정부문'으로 구성되며 부문별 공모 대상 및 정의는 다음 장의 ‘부문별 공모대상 및 정의‘ 표와 같다.
공모 대상은 국토경관과 관련된 사업으로 공모 접수 마감일 기준 최근 5년 이내에 국토·도시공간에서 준공된 시설물 또는 경관사업을 대상으로 한다.(준공일 : ‘19년 5월 15일 ~ 24년 5월 14일’)
다만, 특별부문은 준공된 사업뿐만 아니라, 최근 5년 이내에 법적 기준에 의해 심의 완료된 관련 계획을 포함하여 대상으로 하며, 경관행정 부문은 별도의 세부지침에 따라 진행한다.
이 공모는 국토교통부, 국토연구원, 건축공간연구원이 공동주최하며, 대한국토∙도시 계획학회, 한국도시설계학회, 한국경관학회, 한국공공디자인학회, 대한건축학회, 대한 토목학회 등 6개 학회가 주관하고 파이낸셜뉴스 후원으로 진행된다.
공모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공식 홈페이지(http://www.lcdc.kr)에 공지된다.
부문 | 부문별 정의 | |
---|---|---|
일반부문 | 도시와 자연이 어우러지는 문화경관 |
- 도시와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경관 보전과 활용 사례 - 도시와 지역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공원·녹지·하천·시가지 등 경관 조성 사례 - 도시와 지역의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우수한 경관 형성과 개선 사례 ※ (예시) - 도시공원 및 녹지조성사업 - 자연 및 시가지 경관의 보전 및 개선사업 - 경관자원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살리는 경관 형성과 개선·관리 사례 |
활력있는 가로와 광장 |
- 생활환경 활성화에 기여한 가로 및 길의 조성사례 - 쾌적하고 의미있는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한 광장 조성사례 ※ (예시) - 활력있는 보행자 중심의 가로 - 대중교통전용가로, 스마트 가로 - 경기념광장, 생활광장 등 |
|
우수한 기능과 디자인의 주거 · 상업 · 업무단지 |
- 창의적인 경관을 창출한 주거 · 상업 · 업무단지 조성한 사례 - 우수한 디자인의 공동주택단지 및 상업 · 업무단지 조성사례 -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복합용도단지 조성사례 ※ (예시) - 공동주택단지개발, 상업·업무단지개발, 복합용도개발, 도시개발, 마을만들기, 신업단지개발 등 |
|
문화발전과 공공성 증진에 기여한 건축 |
- 창의적 디자인 또는 문화적 수준 향상에 기여한 건축물 - 국민의 안전 · 건강 및 복지에 직접 관련된 생활공간을 조성한 건축물 -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공간환경을 조성한 건축물 - 지역의 고유한 생활양식과 역사를 반영하고 미래세대에 계승될 문화공간을 조성한 건축물 - 위 사항을 포함하여 선도적 공공성을 창출한 건축물 ※ (예시) - 독창성 있는 디자인으로 미래가치를 창출한 건축물 - 공유와 공존을 위한 사회적 디자인을 구현한 건축물 - 지역사회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구성 등 공공성의 의미를 선도적으로 구현한 건축물 |
|
국민생활편의증진 공공디자인 |
- 사회변화 대응 디자인, 안전·안심디자인, 유니버설디자인 등 삶의 질 향상을 경관과 조화시킨 생활편의 공공디자인 우수 조성사례 - 조화로운 경관형성과 함께하는 생활 SOC(친환경에너지 시설물 포함), 교통안전디자인, 미래형 안내정보체계, 지역이미지, 장소콘텐츠, 문화경험공간 조성사례 ※ (예시) - 공공안전 예방, 지역 생활안심, 고령화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 대응 - 지역브랜드 구축 관련 사업, 여가·생활공간 문화 등 |
|
국토디자인 향상에 기여한 사회기반시설 |
- 주변경관 및 디자인을 고려하고, 설계 및 시공에 새로운 기술이나 공법을 적용한 사회기반시설 - 기고학적·창의성·예술성·사용편의성·친환경성·친경관성에서 우수한 구조물 ※ (예시) - 교량, 터널, 도로, 항만, 철도, 수자원, 환경, 에너지 관련 시설물 등 |
|
특별부문 | 빈 건축물 등을 활용한 창의공간 |
- 방치되거나 사용이 저조한 건축물(주택 포함)을 철거・리모델링 후 새로운 공간으로 조성한 사례 또는 계획(아이디어) - 단일 건축물뿐만 아니라 지구・지역단위 사례 또는 계획을 포함 ※ 특별부문은 준공되지 않은 계획을 작품으로 제출할 수 있으며, 일반 학생도 공모 참여 가능 ※ (예시) - 공원, 주민 체험시설, 문화시설 등 생활SOC로 재정비 - 상업공간 및 관광・숙박시설 등으로 활용 - 지역자산을 활용한 저이용시설의 특화공간 조성 등 |
경관행정 부문 | ||
경관행정 |
-지역 경관의 형성 및 보전, 관리를 위해 계획, 심의, 협정, 사업, 민간전문가 등 관련 제도 개선이나 새로운 운영방식을 도입한 행정사례 ※ (예시) - 경관심의 절차 체계화, 경관자원조사 및 발굴, 민간전문가 도입, |
※ 제출한 작품의 응모분야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심사위원회에서 응모자에게 사전고지를 거쳐 응모분야를 변경할 수 있음
3. 심사 방식심사위원회는 대한민국 국토대전 운영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해당 부분별 전문가로 구성한다.
-
심사는 1차 서류심사, 2차 현장심사로 이뤄진다.
- 1차 서류심사는 부문별 심사위원에 의해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진행한다.
- 2차 현장심사는 1차 심사를 통과한 우수작품을 대상으로 하며, 심사위원들이 직접 현장을 찾아가 진행한다.
다만, 경관행정 부문은2차 심사를 추후 지정한 장소에서 발표심사로 진행한다.- 1차 및 2차 전문가 심사결과와 국민심사(온라인 투표)를 바탕으로 부문별 심사위원들로 구성된 총괄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수상작을 결정한다.
-
심사의 주요 평가 요소는 창의성, 지역성, 지속성, 참여성, 심미성이다.
< 평가지표 >평가지표 부문 평가항목 일반 및 특별 창의성, 지역성, 지속성, 참여성, 심미성
경관행정 협업
창의성, 난이도, 효용성, 만족도, 확산 가능성
- '창의성'은 해당 사업에 적용된 경관 및 디자인 개념이 얼마나 창의적인 요소가 포함됐는지를 판단한다.
- '지역성'은 해당 사업이 주변 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고 고유한 지역 특성을 반영했는지를 평가한다.
- '지속성'은 해당 사업으로 조성된 시설물이 향후 건설 및 유지관리에 있어 얼마나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지를 고려한다.
- '참여성'은 해당 사업의 주체가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지와 그 지역 주민의 참여가 얼마나 이뤄졌는지를 판단한다.
- '심미성'은 해당 사업의 최종 결과물이 얼마나 미적 수준을 이뤄냈는지를 평가한다.
- 다만 평가 배점은 부문별 특성을 고려해 심사위원회의 판단하에 부문별 심사위원들이 가감을 할 수 있다.
-
심사과정에서 국민참여심사를 포함하도록 한다.
- 국민참여심사는 현장심사 기간 중 온라인 투표로 진행하며, 투표결과는 총괄심사위원회 심의에서 10% 이상을 반영한다.
- 온라인투표는 현장심사 대상 작품에 대해 투표참여자가 3개 작품을 선택하며, 선택한 작품에 대한 가중치는 같다.
-
공모작품의 결격사유는 다음과 같다.
- 작품 접수 마감일(5월14일(화)) 오후 6시 이후에 도착하는 경우
- 공모전 규정과 요구사항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와 본 공모전의 위상을 저해하는 등 공모취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등이다.
- 동일한 작품으로 여러 기관이 2개 이상의 부문에 참여한 경우, 심사위원회의 결정으로 참가부문을 조정하고, 수상자는 응모자 공동 수상을 원칙으로 한다. 다만, 응모자간 협의에 따라 단독 수상 요청 시 단독 수상자를 선정한다.
공모전의 수상작은 대통령상, 국무총리상, 국토교통부장관상, 기관장상(국토연구원장상, 건축공간연구원장상, 학회장상)으로 하고 시상 및 포상은 다음 과 같다.
구분 | 선정기준 | 포상 |
---|---|---|
대통령상(1점) | - 부문에 관계없이 가장 우수한 작품 |
- 상장 수여 |
국무총리상(1점) | - 부문에 관계없이 우수한 작품 |
- 상장 수여 |
국토교통부장관상 (8점) |
- 부문별 가장 우수한 작품 각 1점 |
- 상장 수여 |
기관장상(8점) | - 부문별우수한 작품각1점 |
- 상장 수여 |
※ 단, 응모 상황 및 작품 수준에 따라 부문별 시상 규모에 대해 심사위원회가 조정 가능
※ 정부나 공공기관의 경관 및 디자인 관련 공모전에서 동일한 대상으로 중앙정부(장관상 이상) 수상을 받았던 참가작은 수상에서 제외
※ 개인이 응모한 경우 국무총리상 이상에서 수상에 제한 될 수 있음
장관상 이상 수상 지자체에 향후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관련 시범사업 응모 시 가산점 부여
응모 담당 및 발표심사에 참여한 공무원은 교육시간 각5시간 인정(공모작품별최대5인)
대상 수상 담당 공무원(1인)은 연말 국토교통부장관 표창 수여.
공모접수 : 2024년 4월 3일(수) ~ 5월 14일(화)
1차 서류 심사 : 2024년 5월 16일(목) ~ 5월 21일(화)
1차 총괄 심사 : 2024년 5월 22일(수)
현장 및 발표심사 : 2024년 5월 23(목) ~ 6월 11일(화)
최종 총괄 심사 : 2024년 6월 12일(수)
수상자 후보 발표 : 2024년 6월 14일(금)
시상식 : 2024년 7월 18일(목)
※ 심사일정 및 시상식 등은 추후 변동가능하며, 수상자는 국토대전 공모 홈페이지 ( www.lcdc.kr )를 통해 발표
6. 참가자격-
이 공모는 기관 또는 개인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다.
- (기관) 사업의 시행, 설계, 시공 등의 과정에 해당 사업과 관련된 주체로 지방자치단체, 공공기관, 기업, 민간단체 등
- (개인) 해당 기관의 담당 공무원 및 업무 수행자 등
-
공동참가 신청이 가능하며, 기관의 경우 최대 5개 기관까지, 개인의 경우 최대 5명 이내로 한다.
(심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자격 여부를 결정)※ 다만, 기관과 개인 자격으로의 혼합 신청은 불가능하다.
-
참가제한
- 공모의 주최·주관에 참여하고있는 개인또는 단체
- 해당 사업·시설 등의시행, 설계, 시공 등참여주체가아닌 해당사업·시설등의 소재지를관할하는 지자체및 단순관계자는 참여를제한한다.
접수기간 : 2024년 4월 3일(수) 오전 10시 ~ 5월 14일(화) 오후 6시
접수장소 : 국토대전 홈페이지 (바로가기▶)
접수방법 : 공모홈페이지 등록
- 국토대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응모 신청 후
- 국토대전 사무국 이메일( lcdc@fnnews.com)로 전산자료(응모신청서, 응모작품설명서)를 제출
제출품의 저작권
- 제출품의 소유권은 주최기관에게 있으며, 제출된 작품은 일체 반환하지 않음
- 주최자는 복사, 전시, 홍보 등의 목적을 위해 제출된 작품의 사진, 그림, 도면의 전부 또는 일부,기타사항들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
전산자료의 양식
- 사업을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를 포함하여 한글(.hwp)자료로 작성 (단, 파일의 용량은50Mb 이내)
- 전산자료 표지에는 참가자의 등록번호를 기재하여 제출
참가 등록 및 작품 제출
- 국토대전 홈페이지를 통해서 참가 등록 및 작품을 제출
- 등록 및 작품제출 마감시간 2024년 5월 14일(화) 18:00 이후에 제출한 작품은 원칙적으로 접수하지 않음
기타
- 공모는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집행되며, 공모와 관련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대한상사중재원 규칙에 따른 중재를 거쳐 해결함
- 상기의 중재로 해결되지 않는 분쟁의 경우에는 서울에 소재한 법원에서 조정하거나 판결함
※ 본 지침서에서 규정되지 않은 부문 등 구체적 질의사항은 필요시 향후 홈페이지를 통해 응모자에게 고지할 예정
행사 관련
담당 : 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 건축문화경관과
전 화 : (044)201-3781
이메일 : hyunsu1216@korea.kr
시스템 이용 문의
담당 : 파이낸셜뉴스 대한민국 국토대전 사무국
전 화 : (02)6965-0012
이메일 : 8amwon@factblock.com